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사용하다 보면 어느 순간 외장하드, USB, SD 카드 등이 '읽기 전용(Read-Only)' 상태로 전환되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저도 오래된 USB에 소중한 사진을 옮기려다 이 오류를 처음 접했을 때, 당황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읽기 전용 오류는 단순히 저장만 못하는 문제가 아니라, 파일 수정, 삭제, 포맷까지 전면 차단되는 현상이기 때문에 해결이 필요합니다. 특히 업무 파일이 들어있는 경우 당장 수정이 안되면 큰 불편을 초래하죠.
이번 글에서는 Windows, macOS, Linux에서 발생하는 읽기 전용 오류의 원인과 해결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 실전에서 써먹을 수 있는 명령어 예시와 설정 방법, 데이터 보호 팁까지 포함했으니 끝까지 따라와 주세요!
✅ 아래 목차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목차
🧩 읽기 전용 오류의 주요 원인
읽기 전용 상태가 되는 이유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원인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원인 | 설명 |
물리적 스위치 | SD 카드, USB 등에 실제 쓰기 금지 스위치가 있음 |
파일시스템 오류 | FAT32, exFAT, NTFS 등 파일시스템이 손상됨 |
관리자 권한 부족 | 윈도우 계정 권한 부족으로 쓰기 차단됨 |
레지스트리 설정 | USB 저장장치에 쓰기 보호 설정이 켜져 있음 |
그룹 정책 제한 | 회사 PC나 공용PC는 저장장치 사용을 제한함 |
디스크 수명/불량 | 낡은 저장장치는 읽기 전용으로 고정됨 |
🪟 Windows에서 해결하는 방법
1. 물리적 스위치 확인
USB나 SD카드에 있는 작은 슬라이드 스위치가 LOCK에 위치해 있다면, 당연히 읽기 전용입니다. OFF로 내리고 다시 연결해보세요.
2.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파일을 열거나 명령어를 실행할 때 관리자 권한이 없으면 저장 기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명령 프롬프트(CMD)를 관리자 모드로 실행 후 다음 단계로 진행하세요.
3. DiskPart 명령어 사용
diskpart
list disk
select disk 번호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exit
✅ 완료 후 저장장치를 다시 연결하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4. 폴더 권한 변경
- 탐색기에서 드라이브 우클릭 → 속성
- 보안 탭 → 사용자 선택 → 편집
- "쓰기" 권한 체크
5. CHKDSK로 오류 복구
chkdsk E: /f /r /x
오류 복구 후 재부팅하면 자동으로 쓰기 기능이 복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6. 레지스트리에서 WriteProtect 제거
- Win + R → regedit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torageDevicePolicies
WriteProtect
항목을 더블 클릭 → 값(Data)을 0으로 변경
7. 포맷 전 파티션 삭제 후 재구성
마지막 방법으로 디스크 관리 도구(Disk Management)에서 기존 파티션을 삭제하고 다시 포맷하세요. exFAT 또는 NTFS로 포맷을 권장합니다. (⚠ 데이터 백업 필수)
🍎 macOS에서 해결하는 방법
macOS에서는 NTFS 포맷 장치를 쓸 수 없는 것이 일반적인 원인입니다.
1. NTFS 드라이버 설치
- iBoysoft NTFS, Paragon NTFS 등의 앱 설치
- Finder에서 즉시 읽기/쓰기가 가능해집니다.
2. 권한 무시 설정
- Finder에서 디스크 우클릭 → 정보 가져오기(Get Info)
- 하단 "권한 무시(Ignore ownership on this volume)" 체크
3. 디스크 유틸리티 First Aid 실행
디스크 유틸리티 실행 → 드라이브 선택 → First Aid → 복구 시도
안 되면 포맷을 고려해야 합니다.
🐧 Linux에서 해결하는 방법
Linux는 터미널로 해결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sudo umount /dev/sdb1
sudo e2fsck -f /dev/sdb1
sudo mount -o remount,rw /dev/sdb1
또는 root 디렉토리(/
) 자체가 읽기 전용일 경우:
sudo mount -o remount,rw /
NTFS 장치는 ntfs-3g
드라이버 설치 후 마운트하세요.
🛠️ 공통 고급 솔루션
✅ 펌웨어 업데이트
드라이버나 저장장치 자체의 펌웨어 문제가 원인일 수 있으니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받아 업데이트하세요.
✅ 악성코드 검사
일부 바이러스나 랜섬웨어는 저장장치에 쓰기 금지를 걸기도 합니다. 보안 프로그램으로 전체 스캔을 진행해보세요.
✅ 복구 후 백업
EaseUS Data Recovery, Recoverit 등으로 데이터 복구 → 외부 저장소에 백업 → 이후 포맷 진행
🔒 예방 가이드
- 장치 분리 전 항상 "안전하게 제거"
- 외장하드는 전용 전원 어댑터 사용 권장
- 고온 환경, 충격에 주의
- 주기적으로 SMART 상태 확인 (CrystalDiskInfo 등)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DiskPart로 초기화했는데도 읽기 전용이 계속됩니다.
A. 레지스트리, 그룹 정책, 보안 소프트웨어 설정까지 함께 확인하세요. 또 다른 PC에서 테스트도 병행하면 하드웨어 결함 여부를 가릴 수 있습니다.
Q2. Mac에서 NTFS USB 쓰기가 안 됩니다.
A. macOS는 NTFS를 기본 쓰기 지원하지 않습니다. NTFS 드라이버 앱을 설치하거나 exFAT 포맷으로 재설정하세요.
Q3. Linux에서 / 디렉토리가 읽기 전용으로 변했어요.
A. mount -o remount,rw /
명령어로 복원하고, 필요 시 fsck로 오류 복구하세요.
✅ 결론
저장장치가 갑자기 읽기 전용 상태가 되면 당황스럽지만, 차근차근 원인을 분석하고 순서대로 조치하면 대부분 복구할 수 있습니다.
Windows, macOS, Linux 각 운영체제별 해결법을 알고 있다면, 데이터도 지키고 시간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항상 기억하세요: 백업은 최고의 예방책입니다.
📋 요약 정리
항목 | 주요 조치 |
물리적 스위치 | OFF로 전환 |
관리자 권한 | CMD 관리자 모드 실행 |
DiskPart | attributes disk clear readonly 실행 |
권한 수정 | 파일/폴더 보안 설정에서 쓰기 허용 |
CHKDSK | 디스크 오류 복구 |
레지스트리 | WriteProtect=0 설정 |
macOS | NTFS 드라이버 설치 또는 exFAT 포맷 |
Linux | mount -o remount,rw 및 fsck 실행 |
질문이나 오류 상황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직접 겪었던 경험을 바탕으로 도와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