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전모드 때문에 작업 중단? 이제는 안녕!
장시간 다운로드, 원격 접속, 프레젠테이션 중 갑자기 절전모드로 진입해 곤란했던 적 있으셨나요?
이 글에서는 Windows 11에서 절전모드 자동 진입을 완전히 막는 방법을 초보자부터 고급 사용자까지 단계별로 알려드릴게요.
✅ 아래 목차를 통해 원하는 내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 목차
- 1장. 절전모드를 왜 꺼야 할까요?
- 2장. 설정 앱에서 절전 끄는 방법
- 3장. 제어판에서 절전모드 비활성화
- 4장. 그룹 정책으로 절전 완전 차단
- 5장. PowerCfg 명령어로 수동 설정
- 6장. 추가 팁: 자동 로그아웃·잠금 방지
- 자주 묻는 질문 (FAQ)
- 결론
- 요약
1장. 절전모드를 왜 꺼야 할까요?
절전모드는 컴퓨터의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한 기능이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오히려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요.
- 중요 작업 도중 중단: 대용량 파일 다운로드, 서버 원격 접속 등
- 기기 연결 해제: 외부 장치 연결이 끊기거나 프로그램 실행이 중단됨
- 업무 흐름 방해: 프레젠테이션이나 회의 중 예기치 않은 절전 진입
실제로 제가 NAS를 원격으로 접근해 파일을 전송하던 중, 절전모드로 전환되면서 연결이 끊긴 경험이 있어요. 이후 절전 설정을 완전히 꺼두니 작업 흐름이 훨씬 안정적으로 유지되더라고요.
2장. 설정 앱에서 절전 끄는 방법
가장 간편하고 공식적인 방법은 Windows 설정 앱을 이용하는 것이에요.
✔ 설정 경로
Windows + I
→ 설정 열기- 좌측에서 시스템 클릭
- 전원 및 배터리 메뉴 선택
- 화면 및 절전 항목 확장
- 아래 항목을 모두 '안 함(Never)'으로 설정:
- 화면 끄기: 배터리 / 전원 연결 시
- 절전 전환 시간: 배터리 / 전원 연결 시
이렇게만 설정해도 대부분의 자동 절전 문제가 해결됩니다. 특히 노트북은 배터리 모드와 전원 연결 모드를 따로 조정할 수 있어요.
3장. 제어판에서 절전모드 비활성화
Windows 전통의 제어판을 통해 설정하면, 세부 옵션 조정이 가능해요.
✔ 절전 해제 경로
- 시작 메뉴 → 제어판 검색
- 시스템 및 보안 → 전원 옵션 클릭
- 사용 중인 전원 계획 옆에 있는 '계획 설정 변경' 클릭
- '컴퓨터를 절전 상태로 전환'을 '안 함'으로 변경
- 변경 내용 저장 클릭
이 방법은 Windows 7~11까지 모두 사용 가능한 범용적 방식입니다.
4장. 그룹 정책으로 절전 완전 차단
Pro 또는 Enterprise 버전 사용자라면, 그룹 정책 편집기(gpedit.msc)를 통해 더 강력한 제어가 가능합니다.
✔ 설정 방법
Win + R
→gpedit.msc
입력 후 실행-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시스템 → 전원 관리 → 수면 설정 이동
- '전원 사용 시 절전 상태 허용', '배터리 사용 시 절전 상태 허용'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절전 모드를 활성화하려 해도 정책적으로 막을 수 있어요.
5장. PowerCfg 명령어로 수동 설정
고급 사용자라면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PowerCfg 명령어를 활용해 더 빠르고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어요.
✔ 일반 절전 해제
powercfg /x standby-timeout-ac 0
powercfg /x standby-timeout-dc 0
✔ 화면 끄기 시간 해제
powercfg /x monitor-timeout-ac 0
powercfg /x monitor-timeout-dc 0
✔ 최대 절전 모드 끄기
powercfg /hibernate off
이 명령은 시스템에서 hiberfil.sys 파일도 제거하며 최대 절전 기능을 비활성화합니다.
6장. 추가 팁: 자동 로그아웃·잠금 방지
절전 외에도 로그인 해제나 화면 잠금이 걸리는 경우가 있어요. 다음 설정도 함께 해주세요.
✔ 자동 로그인 유지
-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 '다시 로그인을 위해 이 장치 사용 여부 확인'을 해제
✔ PowerToys Awake 기능
- Microsoft의 무료 유틸리티 'PowerToys'를 설치하면
- Awake 모듈을 활성화해 일정 시간 또는 무기한으로 시스템을 깨어 있게 유지할 수 있어요
💡 이 기능은 Caffeine과 유사하며, 작업 도중 마우스/키보드 입력 없이도 절전 진입을 막아줍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절전모드를 꺼도 시스템에 무리는 없나요?
A1. 문제는 없습니다. 다만 노트북 사용자의 경우 배터리 사용 시 전력 소모가 늘 수 있어요.
Q2. 절전 해제 후에도 화면이 꺼져요. 왜 그런가요?
A2. '화면 끄기' 시간도 같이 '안 함'으로 설정했는지 확인해 보세요.
Q3. 설정했는데 절전이 계속 돼요. 어떻게 하죠?
A3. 그룹 정책 또는 PowerToys 설정, 장치 관리자 내 전원 설정도 점검이 필요할 수 있어요.
✅ 결론
Windows 11에서는 여러 경로로 절전모드 설정이 분산되어 있어, 하나만 설정해서는 완전 차단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설정 앱, 제어판, 명령어, 그룹 정책, PowerToys를 함께 조합해 사용하면 어떤 상황에서도 절전 진입을 막을 수 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PowerToys의 Awake 기능을 업무 시간 동안만 켜두고, 밤에는 자동 종료 설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상황에 맞게 조절하는 유연한 설정이 가장 중요해요.
📝 요약
방법 | 설명 | 추천 대상 |
---|---|---|
설정 앱 | 화면/절전 시간 모두 '안 함' | 초보자 |
제어판 | 전통적 수면 설정 | 중급자 |
그룹 정책 | 시스템 수준 제어 | Pro 이상 사용자 |
PowerCfg | 명령어 기반 직접 제어 | 고급 사용자 |
PowerToys Awake | 작업 시간 절전 방지 | 프레젠터/개발자 |
이제는 더 이상 갑작스러운 절전모드에 당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생산성과 시스템 안정성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필요하시면 PowerToys 설치법, gpedit 템플릿 설정법 등도 추가로 안내해 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