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Windows 원격 데스크톱 IP 연결 설정 가이드

by 쑥스비 2025. 8. 10.

직장이나 집 밖에서 내 PC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싶었던 적 있으신가요?

저도 출장 중 급하게 회사 PC에 접속해야 했던 경험이 있는데요, 이럴 때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방법이 바로 Windows 원격 데스크톱(RDP)입니다.

이 글에서는 IP 기반으로 Windows PC 간 원격 접속 설정하는 방법을 처음부터 끝까지 알려드릴게요. 사설망(LAN), 공용망에서도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는 팁까지 함께 담았습니다!

 

원격 데스크톱 IP 연결 설정 섬네일


📌 목차


1. 원격 데스크톱이란? 사용 조건 확인

Windows 원격 데스크톱(Remote Desktop)은 다른 PC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해당 컴퓨터를 직접 조작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 사용 전 확인해야 할 조건:

항목 설명
서버(호스트) 반드시 Windows 10/11 Pro, Enterprise 또는 Education 이상
클라이언트(접속하는 쪽) Windows Home도 가능
위치 사내/가정 네트워크(LAN) 또는 외부(인터넷 연결)

 

✅ 설정 방법:

  1. 설정 → 시스템 → 원격 데스크톱
  2.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켬
  3. [선택] 원격 접속 허용할 사용자 계정 추가

2. 서버 PC 내부 IP 확인 및 고정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IP 주소를 통해 직접 연결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유동 IP일 경우 재부팅마다 바뀔 수 있으므로 고정 IP 또는 DHCP 예약을 추천해요.

🔎 확인 방법:

Win + R → cmd → ipconfig
    
  • IPv4 주소 예시: 192.168.0.37

📌 고정 설정 방법:

  • 공유기 관리자 페이지 접속
  • DHCP → MAC 주소 기반 IP 예약
  • 또는 PC 네트워크 설정 → 수동 IP 지정

3.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외부 접속용)

외부(인터넷)를 통해 접속하려면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이 필수입니다.

⚙️ 설정 절차:

  1. 공유기 접속 → 포트포워딩(NAT) 메뉴
  2. 새 규칙 추가:
항목
서비스 이름 RemoteDesktop
외부 포트 임의의 포트(예: 55000)
내부 IP 서버 PC의 사설 IP
내부 포트 3389 (기본 포트)

 

🛡 포트를 기본값 3389 대신 임의 포트로 설정하면 보안성이 높아집니다!


4. Windows 방화벽 예외 설정

방화벽이 원격 접속을 막지 않도록 포트 예외 규칙을 허용해야 합니다.

✔️ 설정 방법:

  1. 제어판 → 시스템 및 보안 → Windows Defender 방화벽
  2. 좌측 "앱 허용" 클릭 → 원격 데스크톱 체크
  3. 또는 고급 설정 → 인바운드 규칙
    • Remote Desktop – TCP-InUDP-In을 허용
    • 고급 → IP 제한 설정으로 특정 IP만 접속 허용 가능

5. 클라이언트에서 원격 접속하기

모든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클라이언트 PC 또는 모바일 앱에서 접속할 수 있어요.

🔌 접속 방법:

  1. Win + R → mstsc 실행
  2. 연결할 주소 입력:
환경 입력 예시
내부망 192.168.0.37
외부망 203.111.222.33:55000
  1. 계정과 비밀번호 입력 후 접속
  2. 인증서 경고가 나오면 "예" 클릭 → 추후 저장 가능

6. 보안을 위한 팁과 포트 변경 방법

💡 포트 변경은 공격에 노출될 확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방법 ①: 레지스트리로 기본 포트 변경

  1. regedit 실행
  2. 경로 이동: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inStations\RDP-Tcp

  1. PortNumber10진수로 원하는 포트(예: 55000) 입력
  2. 재부팅 필수

방법 ②: IP 필터링으로 특정 주소만 허용

  • 방화벽 고급 설정 → 인바운드 규칙 → '원격 데스크톱' → 범위 탭
  • 허용할 IP만 입력

보안 강화 체크리스트:

  • ☐ RDP 포트 변경
  • ☐ 인바운드 IP 제한
  • ☐ 사용자 계정 제한 (Remote Desktop Users 그룹만 허용)
  • ☐ VPN이나 RD Gateway 병행 사용

자주 묻는 질문 (FAQ)

Q1. Windows Home에서는 원격 데스크톱이 안 되나요?

A. Home 버전에서는 "서버 역할"은 안 됩니다. 즉, 접속은 가능하지만, 호스트로는 불가합니다. Pro 이상이 필요합니다.

Q2. 인증서 경고는 위험한가요?

A. 보통 개인 또는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자체 서명 인증서가 없어 경고가 뜹니다. 한 번만 "예"를 선택하고 저장하면 다음부터는 문제없습니다.

Q3. 외부에서 접속하려면 꼭 공유기 설정이 필요한가요?

A. 네. 외부망에서는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 또는 DDNS 사용 + 포트포워딩이 필수입니다.

Q4. 고정 IP가 없다면 어떻게 하나요?

A. DDNS(동적 DNS) 서비스를 이용하면 공인 IP가 변해도 고정 도메인 주소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예: no-ip.com)


결론 및 요약

IP 기반 원격 데스크톱 설정은 생각보다 간단합니다. 다만, 순서를 정확히 따라야 문제없이 작동해요.

핵심 요약표:

항목 내용
서버 OS 조건 Windows Pro 이상 (접속은 Home도 가능)
고정 IP 설정 사설 IP를 DHCP 예약 또는 수동 설정
포트포워딩 공유기에서 외부 포트를 내부 IP로 연결
방화벽 허용 TCP/UDP 포트 허용 + IP 제한 가능
접속 주소 내부망: 사설 IP / 외부망: 공인 IP:포트
보안 강화 팁 포트 변경, IP 제한, VPN 권장

 

📝 저도 실제로 출장 중 이 설정을 통해 집에 있는 PC에서 작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어요.

처음엔 좀 헷갈렸지만, 한 번만 설정하면 이후엔 클릭 몇 번이면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하니까 정말 유용하더라고요.

만약 Windows Server 환경, 다중 사용자 설정, 원격 프린터/드라이브 공유, RD Gateway 설정이 궁금하시다면, 다음 고급편도 준비해 드릴게요. 댓글로 요청해 주세요 😊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스크린샷이나 .rdp 연결 파일 만드는 팁도 같이 확인해 보세요!

더 쉽고 빠르게 원격 접속을 시작할 수 있답니다.